미술 금태칠장金胎漆匠, 김정중金丁中을 말한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글 / 이칠용 본지명예회장 겸 (사)근대황실공예문화협회장 금태칠기란 금속(金屬) 물질에 옻칠(漆)을 하여 완성시키는 공예품으로서 주로 사찰에서 사용하는 차 도구(화로, 주전자, 찻잔 등)를 비롯하여 거멍쇠 장식이나 정첩 등에 녹을 방지하기 위해 도장(塗裝)하는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칠공예(漆工藝)품을 말한다. 금태칠장 김정중의 공방은 부산시 진구 초읍동 비탈길 변 남루한 주택에 자리 잡고 있다. 그의 공방 은 역사적으로 매우 의미 깊은 곳이기도 하다. 공방 인근의 동래(東來) 옛 지명이 거칠산국(居漆山國)이며 이후 거칠산군 칠산리 칠산동(漆山洞)으로 명칭이 바뀌어 현재도 칠산동이 있으니 한반도에서 부산이야말로 곧 옻의 주산지며 옻문 화의 원류지가 아닌가 연구해 볼만하다. 김정중이 나전칠기의 대가요, 창작 예술가인 이성운(李成雲) 선생에게 나전칠기 기예술을 사사하 여 금태칠기를 주종 장르로 잡은 데는 나름대로의 신념이 있었기 때문이다. '부산 동래 지역엔 옛 가야의 무덤에서 수많은 철기 유물이 나와 박물관을 가득 채워 놓았으니 분명 옛 조상들도 철기가 녹슬지 말라고 옻을 했을 것이다'하는 막연한 생각에서부터 시작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