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담화총사 칼럼] 봉화군-베트남 수교기념 문화행사의 전략적 가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2022년 대한민국과 베트남은 양국 관계를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며 협력의 폭을 넓혔다. 양국 간 경제·안보·문화 협력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지만, 지방정부 차원의 풀뿌리 외교 역시 점차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특히 경상북도 봉화군은 베트남과의 800여 년 역사적 인연을 바탕으로, 중앙정부의 외교 관계를 보완하고 심화하는 독자적 협력 모델을 제시하며 주목받고 있다. 봉화군과 리 왕조의 유산 봉화군 봉성면 창평리에는 고려로 망명한 베트남 리 왕조 후손의 집성촌이 자리한다. 충효당과 유허비 등은 단순한 유적을 넘어 양국 역사적 유대의 상징으로 기능하며, 이는 한국 내 유일한 베트남 선조의 흔적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호찌민 주석이 생전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이 역사적 배경은 오늘날 봉화군이 추진하는 ‘K-베트남 밸리’ 조성사업의 정신적 토대가 된다. 약 2,000억 원 규모의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관광 개발을 넘어, 다문화 국제학교, 베트남 이주민의 생활 중심지, 역사·휴양·문화지구로 구성된 국제 교류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낭 문화행사 참여의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