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인권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이 시급하다.
인권 역시 사회변화에 따르는 선제적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UN을 비롯한 국제기구는 빠른 시일 내에 미래지향적 인권운동을 제시・전개해야 한다. IT이전 기계문명까지도 물리력이 주도하는 사회였다. 인류탄생이후 최근까지 사회전반에 걸쳐 여성에 비해 육체적 힘이 강한 남성이 필연적으로 우월적 지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물리력의 사회였다. 이로 인하여 종교를 비롯한 인류 이성의 산물이라는 철학, 사상, 학문 등 인류역사는 남성 우월적 가르침들이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인간은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을 떠나서 한 시도 살수 없다. 붓다께서는 인간을 비롯하여 일체존재(우주)는 중중무진의 법계연기를 이루는 불리불가(分離不可)의 관계로 유지됨을 밝혔다. 그래서 ‘대상(자연물까지 포함)은 이름이 다른 또 다른 나’로서 불일불이(不一不二)의 실천을 궁극의 수행으로 제시하셨다. 이처럼 인간뿐만 아니라 유정(有情) 무정(無情)의 일체존재는 동일한 값과 가치를 가진다는 경전의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현실이라는 당시 사회적 영향으로 남성 우월의 문화가 존재한다. 현재까지도 대부분의 종교경전은 남성우위를 명령하고 있다. 사회의 규범・도덕・양심 등 이성적 행위의 기준이 되는 종교가 수직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