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징에서 황소울음 잡아내는 징장鉦匠 이용구李龍九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칠용 본지 명예회장 / (사)근대황실공예문화협회장 | 이용구는 1937년 경남 함양에서 우체국에 다니는 이생기를 부친으로 하여 세상에 태어났다. 이용구가 태어난 경남 함양은 예로부터 징의 고장으로 유명하며 서상면 옥산리, 안의면 봉산, 서운부락,석천리, 서하면 송계리 등 20여 군데의 징점(공방)이 있었다. 함안의 징장이(장인)들의 입을 통해 전해져온 설화가 있다. 신라시대 함양군 안의면 용추계곡에 '시원 선생'이라 불리는 선비가 아내와 제자 둘을 데리고 토굴 속에 살며 글을 가르치고 있었다. 어느밤, 제자 한 명이 보니 토굴 속에서 스승님이 시뻘건 불 속에서 원반형의 쇠판을 꺼내 두드리고, 옆에선 아내가 열심히 불매질을 하고 있었다. 이튿날 두 제자가 스승님께 간곡히 청하여 물으니, 그게바로 '징' 만드는 작업이었다. 제자의 청에 못 이겨 선생이 조건을 달아 징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그조건이란 '1년에 꼭 1개씩만 만들되 품행이 올바르고 공덕이 좋은 사람에게만 건네라'는 내용이다. 지금도 전국의 원로 징장들이 징을 만들며 읊는 노래가 있다. 〈어여루 불매야 어여루 불매야/ 불매 부는 여러분들/ 불매 부는 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