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이탈리아와 우크라이나 정치권 및 업계는 26일(수) 로마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에 관한 컨퍼런스를 개최, 종전 이전 우크라이나에 대한 공공 및 민간 투자 방안을 협의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친우크라이나, 친나토 행보를 보여 온 이탈리아의 죠르지아 멜로니 총리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정치적, 군사적 및 인도적 지원 등 전방위적 지원을 약속했다. 또한, 우크라이나 수복 지역의 전략적 인프라 재건을 당장 내일이라도 개시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EU에 대해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할 것을 촉구했다. 특히, 2024년 G7 의장국을 역임할 이탈리아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것이며, 2025년 우크라이나 재건 컨퍼런스를 이탈리아에서 개최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이번 컨퍼런스에는 약 600여개의 이탈리아 기업이 참여. 이탈리아 정부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이 본격화하기 전 최대한 많은 민간기업이 참여할 것을 요청했다. 한편, 유럽개발은행(EIB)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긴급 우선 재건 지원 사업으로 약 140억 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 종전 이전 긴급한 인프라 구축 사업 착수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김건희 여사는 4. 26일 오후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에서 북한 전문가, 북한 인권 개선 활동 중인 탈북민 등을 만나 북한의 인권문제와 개선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김 여사는 “우리 정부는 북한 인권의 실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난 3월 처음으로 '2023 북한인권보고서'를 발간했다”고 소개하면서 “북한 주민들이 조금이라도 더 안전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국제사회가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김 여사는 자리를 함께한 미국인 오토 웜비어(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풀려난 뒤 사망)의 어머님께 “아드님의 소식은 저 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 모두에게 큰 충격”이었다며 위로를 전하기도 했다. 김 여사는 북한의 인권 실상을 목격한 뒤 탈북한 참석자들의 사연, 오토 웜비어 어머니의 탈북민 장학생 지원, 북한 인권 단체들의 활동 현황 등을 들은 뒤 “국제사회 전체가 연대하여 북한 주민의 열악한 인권 상황을 알리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김 여사는 오늘 간담회에 앞서 가진 질 바이든 여사와의 만남에서 “북한의 인권문제는 한미 양국이 관심을 가져야 할 매우 심각한 문제임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김건희 여사는 4. 25일 미국 워싱턴D.C.에 있는 보훈요양원을 방문해 한국전 참전용사들을 찾아뵙고 굳건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했다. 김 여사는 작년 9월에도 미국 뉴저지주 ‘참전용사의 집’을 방문한 바 있다. 김 여사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이룬 눈부신 발전은 여러분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 덕분”이라며 참전용사 한 분 한 분의 손을 맞잡고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또한 참전용사들의 한국전 관련 기억을 들은 김 여사는 “한국전의 치열한 전투는 우리 모두의 아픔이자 슬픔”이라며 공감을 표했다. 김 여사는 우리 정부가 정전 70주년을 맞아 특별 제작한 제복을 전달하면서 “여러분들이 계시기에 한미동맹이 70년간 공고히 이어질 수 있었다”면서, “한국 정부와 우리 미래 세대는 참전용사분들의 헌신과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 여사는 이어 워싱턴D.C.의 국립 어린이병원에서 개최된 현대자동차의 ‘호프 온 휠스’ 특별후원 기념행사에 참석했다. 김 여사는 “대한민국이 과거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는 국제사회의 자유와 번영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말하는 한편, 총 35만 달러의 이번 특별후원이 소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1994년 8월 5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캄보디아의 FDI(외국인 직접 투자)는 164조8,000억 리엘(410억 달러)이다. 이는 2020년 말까지 기록된 152조 리엘(378억2,000만 달러)에서 11.2% 증가했다.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등 중화권 지역이 180억 달러로 43.9% 차지했다. 한국 49억 달러로 11.9%, 싱가포르 27억 달러로 6.5%, 베트남 25억 달러로 6.1%, 일본 24억 달러로 5.9%, 말레이시아 19억 달러로 4.6% 차지했다. 팬데믹 이후, 캄보디아의 정치적 조건, FTA 및 투자법, 지리적 이점에 의해 캄보디아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는 중국 투자자 수는 꾸준히 증가했다. 2022년 캄보디아의 가장 큰 교역 파트너는 중국이다. 2022년 중국과의 교역액은 116억8,6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39% 증가했다. 중국에 대한 무역적자는 2021년 81억7,400만 달러에서 2022년 92억5,000만 달러로 12.61% 증가했다. 2023년 1분기 교역액은 28억6,2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38% 감소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은 2
By Reporter Kayla lee The Cheongyang-gun County of the Chungncheongnam-do Province is blessed with many natural assets, e.g., the god-given sceneries and clean air, best-fit for golfers. And this was immediately apparent at an interview with Mayor Kim Don-kon of the Cheongyang Country conducted by The Korea Post media, publisher of 3 English and 2 Korean-language publications since 1985. Mayor Kim was obviously very proud of the natural beauty of his county, including the picturesque, and history-rich Chilgap-san Mountain noted for its splendid sceneries all year around together with various r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유럽 9개국은 24일(월) 북해 해상풍력 발전 역량을 2030년 최소 120기가와트(GW), 2050년 최소 300GW로 확대하는 이른바 '오스텐드 선언(Ostend Declaration)'을 발표했다. 벨기에, 덴마크, 독일, 네덜란드, 아일랜드, 프랑스 및 룩셈부르크와 비EU 회원국인 노르웨이 및 영국 등이다. 동 선언은 작년 벨기에, 덴마크, 독일 및 네덜란드가 (발표한) 2050년 북해 해상 풍력 발전 역량 150GW 공동 프로젝트에서 5개국이 추가, 발전 역량 목표(를) 2배 확대하는 내용이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북해가 EU 전체 에너지 수요 20%, 친환경 수소의 40% 공급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선언문에서 참가국들은 러시아에 의해 촉발된 에너지 위기 극복, 유럽 에너지 안보 강화 및 친환경 풍력 발전을 통한 기후변화 대응이 동 선언의 목표임을 강조했다. 또한, 해상 풍력 발전을 통해 생산한 전력을 수소 생산에 활용함으로써 북해에 인접하지 않은 유럽 국가의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방침이며, 이를 위해 동 선언문은 수소 인프라 및 효율적인 수소 시장 구축을 추진할 것임을 언급했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강미선 기자 | 김경학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을 비롯한 의장단은 4월 25일부터 4월 29일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중국 산시성陝西省을 방문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코로나19 완화와 중국 정부의 하늘길 개방에 따른 관광 재개 등으로 그간 일시 중단됐던 국제교류 활성화와 새로운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마련됐다. 도의회 의장단은 25일 중국 산시성 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를 방문하여 양광팅 부주임을 비롯한 위원회 관계자들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김경학 의장은 제주와 산시성 간 우호교류 협약체결에 대한 의사를 표명하고, 문화, 관광 및 농어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것을 제안했다. 김경학 의장은“제주와 산시성간 새로운 교류을 통해 경제, 문화, 환경, 교육 등 다방면에서 협력분야를 발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제주도의회 방문단은 26일에는 산시성내 농업시설인 키위 전시관, 산시성 과수업유한책임회사, 산시성 주류업유한회사, 키위 시범원 등을 견학했다.
By Reporter Kayla lee For the first time in several years,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ppear to be in real good hands! President Yoon Suk-yeol of Korea is mending relations, cooperation and friend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after they were reportedly somewhat “not as good as before” in the opinion of many people in Korea, the U.S., and many other countries of the world. President Yoon Suk-yeol (left), who is on a state visit to the U.S., is watching a video of the first pitch with Netflix co-CEO Ted Sarandos at the U.S. guesthouse "Blair House" in Washington on A
By Reporter Kayla lee Recently, it was revealed that Cheongong Master Lee Cheon-gong, who teaches the fundamentals of life and law, had filed a lawsuit against individuals who falsely claimed that he had a criminal record of 17 offenses for defamation. After receiving an investigation following the lawsuits, it was confirmed that the claims made by those individuals were false, and Cheongong Master Lee does not have any criminal record.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spreading the false inform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Mr. Tamusa," "Mr. Kim 00," "Mr. Go 00," and "Mr. Kim 00," and they wil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양려진 기자 | 지난 4월 23일, 미국연합상업협회(이하AGBA) 한국지부는 WWC, 미국 유명 감사기관인 PCAOB의 인증을 받은 미국 회계법인 P.C, Year Champion Financial Advisory Company 파트너사 대표및 실무 담당자 등을 맞이했다. 이들은 미국에 한국 기업의 재무회계 및 감사업무에 대해 한국지부 주요 간부들과 심도 있는 교류와 소통을 진행했고, 한국 기업의 미국 상장을 위한 중요한 지침과 참고 의견을 제시했다. AGBA한국지부 박찬윤총재는 "이번 한국지사 방문은 한국 기업의 미국 상장 과정이 보다 유연하게 발전할 수 있는 좋은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By Reporter Kayla lee Upon arriving in the United States, President Yoon Seok-yeol, who has proclaimed himself as South Korea's top salesman, succeeded in attracting investment at his first official event. President Yoon achieved this feat during a global corporate CEO meeting held in the Blair House Reception Room in Washington, D.C on the afternoon of the 24th (local time). According to the presidential office, President Yoon met with Ted Sarandos, CEO of Netflix, at the event and said, "It was a very meaningful time. At this meeting, CEO Sarandos expressed his position that Netflix will inv
By Reporter Kayla lee K-food's popularity has been increasing day by day with 'Content Hallyu' on its back. Chicken is an indispensable food when discussing the popularity of K-food. From crispy fried chicken to seasoned chicken and chicken & beer. Korea's unique chicken food culture is dominating the world. Genesis BBQ, led by Chairman Yoon Hong-geun, is at the forefront of the "Chicken Hallyu." Starting with China in 2003, it has been operating 700 stores in 57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 19 years since it entered overseas markets, strengthening its position as a global restaurant bran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양려진 기자 | 2023년 4월 19일 홍콩에서 "홍콩 SPAC 상장 및 합병, SPAC2.0 버전 제안 서밋 포럼"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 Wang 회장은 홍콩 SPAC의 매력도를 높이고 업계의 건전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홍콩 SPAC의 현재 개발 상태 및 관련 상장 규칙에 관한 여러 가지 실용적인 제안을 제시했다. Jason Wong 회장은 현재 홍콩 SPAC가 직면하고 있는 딜레마는 투자자가 시장에 진입하는데 제한이 있고, 시장이 투자자에게 충분히 매력적이지 않으며, 발기인의 관심이 너무 많지만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다는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대상 기업은 숨은 비용이 높지만 상장 효율이 보장되지 않는다. 홍콩의 SPAC 개발 현황과 관련하여 Wang 회장은 일반 투자자가 SPAC 청약 및 거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스폰서의 수익권을 취소하고 현금 권리를 채택하도록 보증하는 등 여러 가지 목표 제안을 제시했다. 보다 양질의 인수합병 대상을 유치하기 위해 SPAC 인수합병과 PIPE 투자 이행을 동시에 추진할 것을 권고했다. Jason Wong 회장은 홍콩 SPAC 버전 2.0의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美 재무부 고위 관계자는 최근 스위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및 독일 등을 방문, 해당 정부에 전달한 문건에서 러시아의 일부 품목 제품 우회 수입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 구체적으로 재무부는 러시아가 프로세서와 컨트롤러 등 전자부품, 비디오 카메라 레코더, 레이저 등 광학제품 및 일부 제조 장비 등 수십 개 품목을 우회 수입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재무부는 카자흐스탄을 통한 러시아 제재 우회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금융기관 등이 러시아 정부의 조달 네트워크 파악에 최선을 다해줄 것을 촉구했다. 특히, 이전 거래기록이 없거나 웹사이트가 없는 기업의 거래, 제품의 최종 소비자가 다수 변경되거나 거래 마지막 순간 변경되는 경우, 전자제품 또는 기계 관련 품목의 주요 환적지에 소재하는 기업과의 거래를 요주의 거래로 지목한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박진 외교장관은 '압둘라 빈 자이드 알 나흐얀(Abdullah bin Zayed Al Nahyan)' UAE 외교․국제협력부 장관과 4.21일 저녁 전화통화를 갖고, 수단 현지 교전 상황 악화에 따른 양국간 협조 방안을 논의했다. 양 장관은 4.15일 시작된 수단군(SAF, Sudanese Armed Forces)과 신속대응군(RSF, Rapid Support Forces)간 교전이 카르툼 시내를 중심으로 7일째 계속되고 있는 데 우려하면서, 수단 내 즉각적인 교전 중단을 촉구하는 양국의 입장을 재차 확인했다. 양 장관은 수단 내 우리 국민의 안전한 대피․철수를 위해 정보 공유와 가능한 지원 방안 등 앞으로도 긴밀한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