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신대 군사학과 김찬미 교수 / ‘제68회 현충일 추념식’이 6월 6일 (화)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다. 오전 10시 정각 전국에서 울리는 사이렌 소리와 함께 전 국민은 국가를 위해 희생하신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민주열사의 명복을 빌고, 감사의 뜻을 표하며 1분간 묵념이 진행된다. 묵념은 순국선열들과 유가족들에게 표하는 존경심과 깊은 위로의 마음을 빌어 조국에 바친 피와 땀을 예우하는 것이다. 한국전쟁이 끝난 지 7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이름 모를 산야에 홀로 남겨진 많은 호국영웅들이 있다. 이에 국군 장병들은 전사자의 마지막 한 분까지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드리기 위해 유해발굴사업, 유가족 DNA 시료채취 등을 진행 중이다. 오늘날 우리가 누리고 있는 자유와 평화는 순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6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된 ‘홍윤조’ 중위는 1953년 1월 육군 소위 임관과 동시에 제8사단 제16연대 통신 가설 장교로 임명되어 6.25전쟁에 참전했다. 당시 소대장이었던 홍윤조 중위는 끊어진 유선 통신선 복구를 위해 긴급가설 결사조를 편성하여 보수에 나섰지만, 이 과정에서 적의 박격포탄이 터져 큰 부상을 입게 된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지방소멸과 학령인구감소로 지방대학의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10여년동안 꾸준히 국가안보를 위해 졸업생 100%를 장교로 배출하고 있는 동신대 군사학과에 익명의 장학금이 기부되었다. 기부자는 이름을 밝히지 말라는 당부와 함께 장교임관 첫월급과 마지막 퇴임 월급을 전액기부한 김찬미교수에게 전달하였다. 이에 군사학과는 기부자의 뜻을 존중하여 6명의 다자녀 가구인 2023학년도 군사학과 수석입학 예정인 정효선양에게 장학금을 수여할 예정이다. 이 익명의 장학금기부자는 "지방소멸을 막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도 동신대 군사학과를 응원하겠다."고하면서 앞으로도 여력이 되면 지속적으로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동신대 군사학과는 학과개설이래 졸업생 전원이 장교합격이라는 전국 최고의 합격율을 자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