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2025년 3월 15일 아침 6시반~9시 반까지 담화총사가 새들과 함께 자연과 함께 걷는다. 여기에 사진과 시를 담다. 청계천 물길 따라 천천히 걷노라면 속삭이는 바람이 귓가를 간지럽히네. 햇살은 물결 위에서 반짝이고 시냇물 노래에 마음이 가벼워진다. 돌다리 위를 조심스레 딛고 나아가니 새들이 나란히 날아올라 길을 인도한다. 강물 위 징검다리, 마음의 다리 되어 한 걸음 한 걸음 평온함을 건너간다. 바쁜 도시 속 한 조각 자연의 선물, 이곳에서 새들은 자유를 속삭이고 물길 따라 흐르는 내 마음도 어느새 새들과 함께 하늘을 난다. 회색빛 세상 속 초록빛 숨결, 징검다리를 건너며 꿈을 그린다. 청계천, 그 물길을 따라 걸을 때면 시간도 머물러, 나를 감싸 안는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청계천에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본지 기자가 오늘 아침 8시부터 광화문에서 풍물시장을 지나 계속 물고기 떼죽음을 목격하고 취재에 들어갔다. 물고기 떼죽음의 발견은 "청계천 풍물시장 다리아래에서 부터 군자교 쪽으로 내려가면 수천마리의 물고기가 죽어서 떠다니는가 하면 풀 숲에 걸려 있는 것을 발견 했다.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에 대해 서울시관리공단은 "청계천은 비가 많이 내릴 경우 침수 방지를 위해 수문이 열러 오수와 빗물이 저절로 유입된다"며 "폭우로 인해 희석되지 않은 오수가 유입돼 물고기가 죽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안타깝다",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재발 방지책을 세워야죠", "청계천 물고기 떼죽음, 사람 뿐 아니라 물고기매년 반복되는 것에 대하여 시정해 해야 한다고 말했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담화총사의 힐링을 위한 걷기 이야기 | 나는 오늘도 걸었다. 시원한 아침 공기를 마시며 시작된 걸음은 나를 물길로 안내했다. 맑고 깨끗한 물길을 따라 걷다 보면, 복잡했던 마음도 조금씩 정화되는 것을 느꼈다. 물소리는 잔잔하게 흐르며 나의 생각을 부드럽게 감싸주었다. 그렇게 걷고 또 걷다 보니 어느덧 숲속에 다다랐다. 푸르른 나무들이 빼곡히 들어찬 숲속은 마치 다른 세상에 온 듯한 기분을 주었다. 발걸음을 옮길 때마다 바람이 살랑살랑 불어와 내 뺨을 간질였고, 새들의 지저귐이 나를 반겼다. 숲속의 맑은 공기를 깊게 들이마시자 마음이 맑아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조용한 숲속 한가운데서 잠시 멈춰 섰다. 자연이 주는 힐링을 온몸으로 느끼며, 나는 천천히 눈을 감았다. 깊고 편안한 숨을 들이쉬고 내쉬며 명상에 잠겼다. 자연의 소리와 어우러진 나의 호흡이 점점 하나가 되어갔다. 마음속에 남아 있던 걱정과 불안이 서서히 사라지며, 평화로운 기운이 나를 감쌌다. 시간이 얼마나 흘렀을까. 다시 눈을 떴을 때, 나는 한층 가벼워진 마음으로 일어섰다. 숲속에서의 힐링이 나에게 주는 에너지를 느끼며, 나는 다시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전국에 만발한 산수유와 매화 꽃을 보기위해 상춘객들이 봄 나들이를 즐기고 있는 가운데 오늘은 서울의 청계 광장에서 성동구 신답역 사이를 탐방하면서 새와 봄을 한번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사진으로보는 청계천의 장미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