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福을 부르는 2026 세화 특별전, “어서 오세요 초복初福·招服”

- K-민화 한복의 화려한 서막, 새해 첫날 인사동에서 열린다
- 전시명: 2026 세화전 歲畵展...“어서 오세요 초복初福·招服”
- 전시장소: 서울 인사동 한국미술관 2층 전관, K-민화와 한복이 만나다
- 전시기간: 2026년 1월 1일~5일 (무료입장), 민화 체험행사 진행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2026년 새해 첫날, 인사동에서 한국 전통이 새로운 방식으로 꽃을 피운다. ‘세화전 歲畵展’이 K-민화 패턴을 입힌 한복 모델 선발대회, 민화 특별전, K-민화 ‘초복招福·初服’ 패션쇼 등 국내 최초의 K-민화 융복합 문화축제로 거듭났기 때문이다.

 

올해 주제는 ‘벽사초복辟邪招福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복을 부르다’. 전통 민화의 소박한 미감과 한복의 우아한 선이 합쳐져 K-컬처 세계화의 새로운 문을 연다.

 

 

“어서 오세요 초복”
전통 招福과 현대 初服이 만나는 새해 의례 세화전의 부제인 ‘어서 오세요 초복(招福·初服)’은 복을 부르는 전통의 서사와, 새 옷을 입고 새 출발을 맞이하는 현대적 의미를 동시에 품는다.

 

담화 이사장은 “민화 인구 20만 시대를 맞아, 민화와 패션을 결합해 글로벌 아이콘으로 만들 것”이라며 “세화전은 K-민화 한복으로 한 해를 가장 아름답게 여는 축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K-민화 한복 모델 선발대회
“작가가 모델이 되고, 모델이 작가가 되는 시대” 이번 세화전의 핵심은 K-민화 한복 모델 선발대회다. 특별히 올해는 민화 작가의 작품을 실제 한복 디자인에 적용하는 신설 부문이 포함돼 ‘작가와 모델의 융합’이라는 새로운 예술 직군이 탄생한다.

 

호랑이의 장난기, 봉황의 기품, 매화의 고결함, 모델들은 이러한 민화 모티프를 입은 한복을 착용하고 무대 위에서 새로운 미학을 선보인다. 선발된 모델들은 향후 1년간 세계 의상 페스티벌, 웨딩 한복 쇼, 국제 문화행사 등에 참여하며 외교저널·유엔저널 문화외교 사절단으로 활동하게 된다.

 

 

민화 특별전 200점, 패션쇼와 LED가 만드는 ‘움직이는 세화歲畵’
전시장에는 200여 점의 K-민화가 공개되며 조선 서민 정서가 담긴 호랑이·꽃·새 등의 주요 모티프가 중심을 이룬다. 패션쇼 무대는 혁신적이다. 모델이 런웨이를 걸으면 뒤편 LED 스크린의 민화 애니메이션이 한복의 자락과 실시간으로 연동되어 관람객들은 “움직이는 민화, 살아있는 세화歲畵”를 체험하게 된다.

 

 

 K-컬처 세계화, 2026년 새해를 여는 첫 축포
K-민화와 한복의 만남은 단순한 융합이 아니다. 이는 한국 예술의 섬세한 색채·감성·철학을 세계에 소개하는 문화외교 프로젝트로 확장된다.

 

최근 한복 모델 대회가 베트남 등 해외 교류행사로 번져나가며 한복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서 세계적 위상을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있다. 이번 세화전은 이러한 흐름에 K-민화라는 새로운 동력을 더하며 국제 패션·문화 시장에서의 한국 예술의 영향력을 극대화할 전망이다.

 

세화전이 여는 ‘복福의 시대’
2026년 1월 1일, 인사동에 울려 퍼질 첫 인사. “어서 오세요 초복招福·初服”은 단지 환영의 말이 아니다. 새해 첫날, 한복의 자락과 민화의 숨결이 하나 되어 한국과 세계를 잇는 새로운 축복의 장이 펼쳐진다는 선언이다.

 

 

“누가 K-민화,Folk Painting를 단순한 민화라 했던가.? 그 숨결은 이제 한복의 자락을 타고 지구촌을 물들이는 예술의 물결로 피어난다.” K-민화와 K-민화 한복이 만나는 2026 세화 특별전, 새해의 첫 빛 아래, 전통 예술은 다시 태어난다.

 

이번 행사는 월간 K-민화, (재)K문화진흥재단, 조낭경 고은 자락이 공동 주최하고, 월간 K-컬처, K-민화연구, (재)세계문화진흥재단, 외교저널이 공동 주관한다.

 

또한 유엔저널, 시민행정신문, 코리아컬처 등이 후원하며, 공익법인 담화문화재단의 따뜻한 협찬 속에 행사가 진행된다.

 

전통의 숨결과 현대의 감성을 잇는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 문화의 세계화를 향한 새로운 축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