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김지은 기자 | 김진표 국회의장은 지난 4일 오후 국회 의장집무실에서 깅그리치 미국 전 하원의장 내외를 접견하고 한미동맹 강화 및 의회외교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깅그리치 전 의장은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하원의장을 지냈고 퇴임 이후에도 미 외교정책협회 자문위원 등으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깅그리치 부인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주교황청 미국대사를 지냈다. 김 의장은 "깅그리치 의장은 그간 한미동맹의 든든한 후원자로서 한미관계 발전과 동맹 강화를 위해 애썼다"며 "올해 한미동맹 70주년을 계기로 양국 관계가 더욱 단단해질 수 있도록 계속 힘을 보태주고 지원해달라"고 당부했다. 김 의장은 또 "한미동맹 강화를 위해 의회 차원의 협력도 중요하므로, 올해 6월 초 미국을 방문해 의회 내 한미동맹 지지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며 "특히 한국 국회는 지난 2월 한미동맹 70주년 기념 결의안을 채택했고 그 내용 중의 하나로 한미 의회 간 교류협력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한미의원연맹' 창설을 추진하고 있으므로, 미 의회에서도 '미한의원연맹'이 창설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주길 바란다"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존영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7일 "셔틀외교 복원은 12년이 걸렸지만 우리 두 사람의 상호 왕래에는 두 달이 채 걸리지 않았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의 확대 정상회담 모두발언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새롭게 출발한 한일관계가 속도를 내서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좋은 변화의 흐름은 처음 만들기 힘들지만 일단 만들어지면 대세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 지금의 한일관계 흐름이 바로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면서 "총리님과 도쿄에서 정상회담을 가진지 두 달도 안 된 사이에 한일관계도 본격적인 개선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어 "저는 과거 양국 관계가 좋았던 시절을 넘어 더 좋은 시절을 만들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지금의 엄중한 국제정세와 글로벌 복합위기 상황에서 한일 간의 협력과 공조는 양국의 공동 이익은 물론이거니와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국제사회의 평화와 번영의 토대가 되어 온 자유민주주의가 위협받는 상황에서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김지은 기자 | 주낙영 경주시장은 8일 라흐마노브 자수르 우바이둘로에비치(Rakhmanov Jasur Ubaydulloevich) 사마르칸트주 관광문화재국 부국장을 비롯한 대표단 일행과 관광정책 간담회를 가졌다. 경북관광기업지원센터 대회의실에서 개최된 간담회는 주한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을 비롯해 경북문화관광공사 및 동국대 관계자, 지역 여행사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방문은 경주시·사마르칸트시 우호결연 10주년을 기념하고 서울국제관광전에 참가 위해 방한한 대표단에게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도시인 경주시를 소개하고 지속적인 협력 관계 유지를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주낙영 시장은 “경주-사마르칸트 우호결연 1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를 맞아 지역을 찾아주신 대표단을 환영한다”며 “양 도시는 실크로드 거점도시라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지난 2013년 8월 경북도의 ‘실크로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해 그간 학술 분야에서 중점적으로 교류를 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이 자리는 관광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만큼 양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화유산과 관광 인프라를 기반으로 관광산업에서도 물꼬가 트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재화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7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우리 두 정상은 한일관계 개선이 양국 국민에게 큰 이익으로 돌아온다는 점을 확인하고, 앞으로도 더 높은 차원으로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 나아가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소인수 회담, 확대 회담을 차례로 가진 뒤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한일 양국이 안보,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한다는데 다시 한번 뜻을 모았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윤 대통령은 “기시다 총리는 먼저 지난 4월24일 수단에서 일본인이 철수하는 과정에서 우리 측이 제공한 협조에 감사를 표시했다”며 “철수 과정에서 이루어진 양국의 협력은 달라진 한일관계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3월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외교안보 당국 간 안보 대화와 NSC 간 경제안보대화, 그리고 재무장관회의 등 안보, 경제 분야의 협력체가 본격 가동되고 있음을 환영했다”며 “양국의 대표적 비우호 조치였던 화이트리스트의 원상회복을 위한 절차들이 착실히 이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EU 집행위는 애플의 비인증 충전기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인증칩(Authenticator chip) 장착이 'EU 단일충전기지침(Common Charger Directive)'에 위반한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EU 집행위 내부시장총국은 최근 애플이 올 해 출시할 아이폰 15에 애플이 인증하지 않은 액세서리 사용을 제한하는 인증칩을 장착, 사실상 'EU 단일충전기지침'을 우회하려 시도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한 집행위 입장을 표명했다. 집행위는 '단일충전기지침'의 목적이 브랜드와 관계없이 모든 통신장비와 충전기의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고, 소비자 편익 제고와 비용 및 폐기물 절감을 위한 것임을 지적했다. 지침에 따라 2024년 12월 28일 이후 모든 통신장비와 충전기의 호환성을 제한하는 행위는 금지되며, 단일충전기 요건에 부합하지 않는 상품은 EU에 출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특히, 집행위는 지난 3월 애플에 대해 지침 발효 후 통신장비와 충전기의 호환성을 제한하는 행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백하게 전달했다고 언급했다. 동 지침의 이행 감시는 회원국 관련 당국이 수행하며, 지침의 요건에 위반하는 제
By Reporter Kayla Lee SK Telecom announced on May 3 that it added a new service named ‘if home’ to its metaverse platform ‘ifland.’ ‘ifland’ is a personalized 3D virtual space that allows users to better express themselves and socialize with others in the world of metaverse. After updating their ‘ifland’ app, users can create their ‘if home’ by selecting one of each of the four terrains and six buildings. The four terrains are forest, universe, beach and city village, and six different types of buildings include Santorini-style house, wooden house, Hanok (Traditional Korean h Users can then de
By Reporter Kayla Lee Hyundai Motor will compete in the 2023 Nürburgring 24 Hours, the most gruelling automotive endurance race in the world, for the eighth consecutive year, seeking its third straight victory in the TCR class and first win in the VT2 class, the company said on May 3. As its name suggests, Nürburgring 24 Hours is a day-long annual touring car and GT racing event in Germany that takes place on a combination of tracks on a circuit that is affectionately known as the ‘Green Hell’. The nearly 25.4 km (15.8 mile) lap length allows more than 200 cars and over 700 drivers to particip
By Reporter Kayla Lee President Yoon Suk-yeol, who recently returned from a state visit to the U.S., on April 30 called the bilateral alliance with America "God's blessing and a valuable legacy for our future generations." Senior Secretary to the President for Public Relations Kim Eun-hye said in a news release that the president retweeted U.S. President Joe Biden's Twitter post mentioning the bilateral alliance and added the comment in English. "Don't know how to thank @POTUS (U.S. President Joe Biden) and @FLOTUS (first lady Jill Biden) enough for their truly warmest welcome," President Yoon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박진 외교장관은 5.3일 주한 영국대사관이 주최하는 찰스 3세 국왕 대관식 및 한-영 수교 140주년 기념 리셉션에 참석했다. 동 리셉션에는 콜린 크룩스(Colin Crooks) 주한 영국대사를 비롯하여 영국 관련 우리측 정·재계, 문화계 등 각계각층의 다양한 인사들이 참석했다. 박진 외교장관은 축사를 통해 70년 만에 개최되는 영국 국왕의 대관식을 축하하고, 우리나라를 대표해서 한덕수 국무총리가 대관식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했다. 또한, 박 장관은 찰스 3세 국왕이 문화예술, 기후변화, 환경 등에 대한 각별한 관심을 바탕으로 영국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가져오길 기원했다. 박 장관은 또한 2023년은 한-영 양국 수교 140주년과 정전 70주년을 동시에 기념하는 한-영 관계에 의미있는 해라고 하고, 양국이 지난 140년간 자유, 민주주의, 인권 등 보편 가치를 바탕으로 강력한 연대를 발전시켜온 것을 평가했다. 특히, 박 장관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정상회담, 우리 정상 영국 방문, 외교장관 방한 등 활발한 고위급 교류를 통해 한-영 관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을 평가했다. 박 장관은 작년 6월 정상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5월 3일 오전 인천(송도)에서 아사카와 마사츠구(Asakawa Masatsugu) 아시아개발은행(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총재와 양자 면담을 하고, ADB-한국 기후기술허브(K-Hub) 설립에 합의하는 양해각서 등에 서명했다. K-Hub는 한국정부와 ADB가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후기술허브로, ADB와 한국정부가 공동으로 인력을 파견하여 운영할 예정이다. ADB는 기후관련 사업을 향후 1,000억불(‘19~’30년 누적) 규모로 확대하는 등 기후분야에 집중하여 기후 선도자(Climate Bank)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있다. ADB는 한국의 우수한 기후기술 및 한국에 소재하고 있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녹색기후기금(GCF) 등 기후관련 기관과의 시너지 효과를 고려할 때 한국이 기후허브 소재지로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K-Hub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와 전 세계의 공공·민간 기후 전문가를 선별하고 연결하여 기후분야 네트워크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기후분야 ADB 사업을 설계하고 수행하여, 아시아 역내국에 기후분야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5.2일 말레이시아를 방문 중인 박진 외교부장관은 쿠알라룸푸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National Art Gallery of Malaysia)에서 개최된 ‘한류 전시회(Hallyu Exhibition)’의 개막식에 참석했다. 주말레이시아한국대사관과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이 공동주최한 이번 전시회의 개막식에는 하자 사라야(Datuk Hajah Saraya) 말레이시아 관광·예술·문화부(MOTAC) 차관, 아메루딘 아마드(Amerrudin Ahmad) 국립미술관장 등 200여 명의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번 전시회는 한국과 말레이시아 간 동방정책(Look East Policy) 40주년을 기념하여 말레이시아 국립미술관측의 제안으로 시작됐으며, ‘한류(Hallyu : Korean Wave)’를 주제로 양국 작가들이 제작한 프레스코화, 미디어아트, 설치 미술 등 총 10개 테마의 작품들이 4개월간(5.1-9.16) 전시될 예정이다. △ 한류의 과거와 현재, △말레이시아 일상 속 한류의 영향 두 가지 주제로 준비된 이번 전시회는 말레이시아인의 일상 속에 스며든 한류의 영향을 표현하기 위해 삼성전자,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유럽의회는 'EU 인공지능법(AI Act)'에 대한 정파간 정치적 합의에 도달, 11일(목) 소관 위원회 표결과 6월 본회의 표결을 통해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유럽의회의 모든 정파가 인공지능법에 관해 합의함에 따라, 추후 일부 기술적인 조정 가능성이 남아있으나 본회의에서 합의안이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일반목적 인공지능(General Purpose AI) 가장 논란이 되던 일반목적 인공지능 규제와 관련, 챗GPT와 같은 일반목적 AI를 규제하는 이른바 '파운데이션 모델'이란 세부 카테고리를 설정, 보다 강화된 규제를 도입한다. 특히, 유럽의회는 일반목적 인공지능의 경우 디자인 및 개발 단계에서 EU법, 표현의 자유 등 기본권 보호 강화 의무 부여했다. 금지된 인공지능 분야 예기치 않은 위험 초래 가능성에 따른 인공지능 사용 금지 분야와 관련, 생체인식 소프트웨어, 의도적 조작(Purposeful Manipulation), 감정인식 소프트웨어, 예측치안(Predictive Policing) 등을 인공지능 금지 분야로 지적했다. 일부 정파는 인공지능을 통한 모든 인간간의 통신에 대한 모니터링
By Reporter Kayla lee “Ladies and gentlemen, and the boys and girls of all the countries of the world, I am very proud of all of you, and especially those living in Korea!” So said Chairman Shin Kwang-yul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Foreigners Welfare (ICFW) in the forward on his Internet. On May 1 this year, Chairman Shin invited this writer together with his editor (Mr. Kevin Lee) to a friendly luncheon in Seoul, where discussion and exchange of views took place, predominantly on ways to further improve the relations, cooperation and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the all the countries
By Reporter Kayla lee Korea Forest Service signed a joint forest project agreement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t the Seoul City Hall on May 8 to revitalize forest recreation and leisure. Korea Forest Service announced on April 28 that it plans to create a walkway in Namsan Pine Forest, a national forest cultural asset, in cooperation wi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forest leisure facilities such as campsites, tree houses on trees, and tree climbing. This agreement plan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by revitalizing forest recreation a
By Reporter Kayla lee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er Lee Chang-yang attended the “Korea-U.S. High-Tech Industry & Clean Energy Partnership” MOU signing ceremony on April 25 at Waldorf Astoria Washington DC where a total of 23 MOUs were signed for stronger forward-looking Korea-U.S. high-tech cooperation. Minister Lee gave an opening message and attended the MOU signing ceremony in which 23 MOUs were signed for cooperation in 10 high-tech industry areas (battery, bio, autonomous vehicles, aviation, robotics) and 13 clean energy areas (hydrogen, nuclear power, carbon neutral, etc.).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