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각장 허길량, 네 번째 개인전 개최

- 57년 장인의 손끝에서 태어난 ‘불빛’
- 「박달다듬이목과 소나무에서 깨어난 비천(飛天)」

외교저널 (Diplomacy Journal) 이정하 기자 | 전통의 맥, 비천으로 날아오르다, 국가무형문화재(前) 목조각장 二九이구 허길량 선생이 오는 10월 15일(화)부터 21일(월)까지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1층 세종미술관 1관에서 네 번째 개인전을 연다. 이번 전시의 주제는 「박달다듬이목과 소나무에서 깨어난 비천飛天」으로, 57년 세월을 오롯이 바쳐온 장인의 손끝에서 다시 태어난 불교 목조각의 세계를 담아낸다.

 

 

전시장에는 목조 비천상 20여 점을 비롯하여 미륵반가사유상, 보살상, 삼신불 등 총 30여 점이 선보인다. 특히 최초 불상 조성에 사용된 전단향목으로 조각한 관음보살·지장보살상(높이 60cm)은 국내에서 보기 힘든 희귀작으로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장인정신으로 빚은 불교 조각의 정수

허길량 장인은 15세에 조각도를 잡은 이래 반세기가 넘는 세월 동안 불교 목조각에 전념해왔다. 오대산 중대보궁을 비롯한 전국 사찰 불상 조성에 참여하며 “천하제일 목조각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은사 서수연과 이인호, 우일스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불상은 보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것”이라는 철학을 담아낸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대 벽화 속 선인이 하늘을 나는 듯한 장면을 형상화한 비천상들이 중심을 이루며, 법신·보신·화신의 세계를 형상화한 미륵반가사유상과 장엄한 보살상도 함께 선보인다.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진우 스님은 “허길량 장인이 일평생 쌓아온 부처님 조각의 기량이 집약된 전시”라며 “많은 이들이 부처님의 마음을 함께 느끼고 나누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했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교흥 위원장 역시 “이번 전시는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의 책무를 일깨우는 자리”라며, 목조각 예술의 지평을 넓히는 의미를 강조했다.

 

 

전시 개요

전시명: 목조각장 허길량 개인전 ,「박달다듬이목과 소나무에서 깨어난 비천」

기간: 2025년 10월 15일(화) ~ 10월 21일(월)

시간: 오전 10시 ~ 오후 6시

초대일시: 2025년 10월 15일(화) 오후 3시

장소: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세종미술관 1관

 

 

허길량 장인 이력 (요약)

1953 전남 순천 출생

1977 불교미술대전 대상

1981 문화재청 목조각장 615호 취득

2001 중요무형문화재 제108호 목조각장 인정

2002 제1회 개인전 「33관음속으로」 (공평아트)

2003 이탈리아 밀라노 국제박람회 초대 출품

2014 제2회 개인전 「33비천 소나무 비천되어」 (예술의 전당)

2022 제3회 개인전 「박달다듬이목 53동자 동녀전」 (인사동)

2025 제4회 개인전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세종미술관)

 

이번 전시는 전통 불교 조각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장인정신의 결정체로, 관람객들에게 깊은 울림과 성찰의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